반응형
변수란?

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에 붙여진 이름

변수를 선언하면 메모리 공간이 할당되고 그 공간에 이름이 붙는다.

변수의 이름을 통해서 할당된 메모리 공간에 접근이 가능하며

값을 저장할 수도 저장된 값을 참조하는 것도 가능하다

 

 

 

변수 선언시 이름 규칙

1. 변수의 이름은 알파벳, 숫자, 언더바(_) 로 구성된다.

2. 알파벳 대소문자를 구분한다.

3. 변수의 이름은 숫자로 시작할 수 없고, 키워드도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다

4. 변수명 사이에 공백 삽입 불가능

 

주의사항

1. 변수의 이름이 숫자로 시작하면 안된다.

2. 변수의 이름에 특수문자 사용금지

3. 공백도 특수문자로 취급되기에 사용금지

 

 

 

변수 선언

변수는 선언만 할 수 있습니다. 초기화를 하여 값을 대입하지 않고 선언만 하는 경우에는 값이

대입되기 전까지 쓰레기 값(의미 없는 값)이 채워집니다.

 

콤마를 이용하여 둘 이상의 변수를 동시에 선언할 수 있습니다.

 

선언과 동시에 초기화(값을 대입하는 행위) 할 수 있습니다.

 

선언이 된 변수에 값을 넣는것을 할당이라고도 합니다.

 

변수에 값을 할당할시 두개의 자료형(데이터형)이 같아야 합니다.

변수 선언 및 초기화

주의사항

의미있는 변수명을 짓는것이 중요!

과거 C 표준에서는 변수의 선언이 맨 앞에 오는것을 요구했지만 지금은 아니다

 

데이터형

정수형 char / short / int / long

실수형 float / double

 

정수 실수 변수가 나뉘는 이유?

정수를 저장하는 방식과 실수를 저장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입니다.

 

변수는 초기화를 하면서 메모리 영역(스택)을 할당 받습니다.

이 메모리는 해당 변수가 있는 함수가 종료되면서 같이 메모리해제가 됩니다.

메모리 할당은 OS가 처리해줍니다.

 

이미지 출처 : 윤성우의 열혈 C 프로그래밍

 

반응형

 

반응형

'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명령 프롬프트 / CMD(Command Prompt)  (0) 2023.05.08
키보드 정수 입력에 대해서!  (0) 2023.05.08
연산자에 대해서!  (1) 2023.05.08
C언어 구조 파악!  (0) 2023.05.08
C언어란?  (0) 2023.05.08

+ Recent posts